봄꽃이 아무리 아름답게 피어도 결국 지고 만다. 그런 안타까움을 노래한 시는 동서고금에 수없이 많다. 낙양성 동쪽 복숭아꽃 오얏꽃은 날아오고 날아가서 누구 집에 떨어지나(洛陽城東桃李花 飛來飛去落誰家)…. 해마다 피는 꽃은 비슷하지만 해마다 사람 얼굴 같지 않네(年年歲歲花相似 歲歲年年人不同 당나라 시인 유희이(劉希夷)의 〈대비백두옹(代悲白頭翁)〉은 지는 꽃들을 보며 청춘도 덧없이 가고 마는 슬픔을 노래했다.
영국 시인 하우스먼도 〈나무 중 가장 사랑스러운((Loveliest of trees)〉이라는 시에서 그 비슷한 심사를 이렇게 표현한다. 나무 중 가장 사랑스러운 벚나무는 지금/ 가지마다 꽃을 달고 있네…. 일흔 봄에서 스물을 빼면/ 내게 남는 것은 오직 쉰뿐/ 활짝 핀 꽃을 보기엔/ 쉰 봄은 너무 짧으리니 한창나이인 스물에 벌써 이런 시를 짓는 건 좀 성급한 것 아닐까?
하여튼 대개 꽃을 보면서 이처럼 청춘과 인생에 대한 서정을 노래하는 것이 정상이건만, 일본 제국주의는 벚꽃을 보며 하필 집단 전사(戰死)를 부추겼다. 하긴 먼 과거로부터 일본 사람들의 벚꽃 사랑에는 색다른 면모가 있었다. 일본의 무사도를 세계에 알린 대표적 저서인 니토베 이나조의 〈일본의 무사도〉는 꽃은 벚꽃, 사람은 무사라는 말을 소개하며, 벚꽃을 무사의 비장한 죽음과 연관지었다. 그는 영국의 장미와 일본의 벚꽃을 대비시키며,장미는 감미로운 꽃 아래 날카로운 가시를 숨기고 있어 마치 생명에 대한 강한 집착을 갖고 있는 듯하다고 비판한다. 반면 벚꽃에 대해서는 아름다우면서도 덧없이 져버리고, 바람이 부는 대로 흩날리면서도 한 줄기 향기를 흩뿌리며 영원히 사라지는 비장미를 강조한다. 이런 죽음의 미학은 조만간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로 변용된다. 일시에 지는 벚꽃을 군국주의 이념으로 찬미하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 즈음이라고 한다. 이제 바람결에 많은 꽃잎이 떨어져 흩날리는 것이 전쟁에서 산화하는 상징이 되었다. 일본 남아로 태어났다면 산병전(散兵戰)의 벚꽃처럼 지거라 혹은 천황을 위해 사쿠라가 되어 야스쿠니에서 만나자는 군가를 부르며 젊은이들이 전쟁터에 끌려갔다.
꽃이 무슨 죄가 있으랴, 이상한 이데올로기에 꽃을 동원한 인간이 잘못이지.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조선일보
年年歳歳花相似
歳歳年年人不同(唐詩選)
영국 시인 하우스먼도 〈나무 중 가장 사랑스러운((Loveliest of trees)〉이라는 시에서 그 비슷한 심사를 이렇게 표현한다. 나무 중 가장 사랑스러운 벚나무는 지금/ 가지마다 꽃을 달고 있네…. 일흔 봄에서 스물을 빼면/ 내게 남는 것은 오직 쉰뿐/ 활짝 핀 꽃을 보기엔/ 쉰 봄은 너무 짧으리니 한창나이인 스물에 벌써 이런 시를 짓는 건 좀 성급한 것 아닐까?
하여튼 대개 꽃을 보면서 이처럼 청춘과 인생에 대한 서정을 노래하는 것이 정상이건만, 일본 제국주의는 벚꽃을 보며 하필 집단 전사(戰死)를 부추겼다. 하긴 먼 과거로부터 일본 사람들의 벚꽃 사랑에는 색다른 면모가 있었다. 일본의 무사도를 세계에 알린 대표적 저서인 니토베 이나조의 〈일본의 무사도〉는 꽃은 벚꽃, 사람은 무사라는 말을 소개하며, 벚꽃을 무사의 비장한 죽음과 연관지었다. 그는 영국의 장미와 일본의 벚꽃을 대비시키며,장미는 감미로운 꽃 아래 날카로운 가시를 숨기고 있어 마치 생명에 대한 강한 집착을 갖고 있는 듯하다고 비판한다. 반면 벚꽃에 대해서는 아름다우면서도 덧없이 져버리고, 바람이 부는 대로 흩날리면서도 한 줄기 향기를 흩뿌리며 영원히 사라지는 비장미를 강조한다. 이런 죽음의 미학은 조만간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로 변용된다. 일시에 지는 벚꽃을 군국주의 이념으로 찬미하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 즈음이라고 한다. 이제 바람결에 많은 꽃잎이 떨어져 흩날리는 것이 전쟁에서 산화하는 상징이 되었다. 일본 남아로 태어났다면 산병전(散兵戰)의 벚꽃처럼 지거라 혹은 천황을 위해 사쿠라가 되어 야스쿠니에서 만나자는 군가를 부르며 젊은이들이 전쟁터에 끌려갔다.
꽃이 무슨 죄가 있으랴, 이상한 이데올로기에 꽃을 동원한 인간이 잘못이지.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조선일보
年年歳歳花相似
歳歳年年人不同(唐詩選)
ねんねんさいさいはなあいにたり
さいさいねんねんひとおなじからず
さいさいねんねんひとおなじからず
『枯木再び花を生ず -禅語に学ぶ生き方-』(細川景一著・2000.11.禅文化研究所刊)より
唐代の詩人、劉(りゅう)希夷(きい)(651~680?)の「白頭(はくとう)を悲しむ翁(おきな)に代(か)わりて」と題する詩の第4節です。
古人(こじん)復(ま)た洛城(らくじょう)の東に無く
今人(きんじん)還(ま)た対す落花の風
年年歳歳花相似たり
歳歳年年人同じからず
言(げん)を寄(よ)す全盛の紅顔の子
応(まさ)に憐(あわ)れむべし 半死の白頭翁(はくとうおう)
昔の愛人はもはや洛陽(らくよう)にはいない今、また、若い恋人同士が風に散る花を眺(なが)めています。思えば、寒い冬が終わって春になると、昔年と同じように花は美しく咲くけれど、一緒にこの花を見た人はもはやこの世にはいない。若く、美しい君達に云っておく。若いと云うがすぐ年老い、黒い髪も白くなってしまうぞ!
「年年歳歳花相似たり、歳歳年年人同じからず」。自然の悠久(ゆうきゅう)さと人間の生命のはかなさを対峙(たいじ)させて人生の無常を詠歎(えいたん)した句です。
生ある者は必ず死ななければなりません。それは人間の「サダメ」です。人間にとって、死別ほど悲しいものはありません。否、人間だけではありません。先頃、『朝日新聞』の「こころ」の欄に千葉県仏母寺(ぶつもじ)の住職、安井(やすい)玉峰(ぎょくほう)さんの随筆が紹介されていました。
「年年歳歳花相似たり、歳歳年年人同じからず」。自然の悠久(ゆうきゅう)さと人間の生命のはかなさを対峙(たいじ)させて人生の無常を詠歎(えいたん)した句です。
生ある者は必ず死ななければなりません。それは人間の「サダメ」です。人間にとって、死別ほど悲しいものはありません。否、人間だけではありません。先頃、『朝日新聞』の「こころ」の欄に千葉県仏母寺(ぶつもじ)の住職、安井(やすい)玉峰(ぎょくほう)さんの随筆が紹介されていました。
ある日、お寺の壁にドスンと雄(おす)のキジがぶつかり、ひん死の重傷を負ってしまいました。キジの雌(めす)がコーコーと鳴いて雄の周りを回っているんです。雄は必死に首を上げようとするんですが、ついに力尽きてしまいました。
痛ましさに胸がいっぱいになり、キジのそばにしゃがみ込みました。が、あんなに警戒心の強い雌キジが、今はもう私のことなど意識になく彼の周りを回っています。そのうち彼女は彼のくちばしの付け根を軽くコツコツとつつき始めました。
コーコー。「起きなさい」といわんばかりです。それでも、なんの反応もないと、こんどはトサカやほおの毛をくちばしでくわえて持ち上げようとするではありませんか。
が、黒いひとみは閉じられたままです。ついに、彼女は彼の体に駆(か)け上がり、必死にコーコーと鳴きながら、ひとしきり激しく頭をくわえてひっぱりました。キジの情愛とはこれほどのものかと、彼女の姿が涙で見えなくなりました。
……彼女はやっと事の次第を納得したのか、離れては近寄り、それを数回繰り返して、去って行きました。放心して見つめる私が、なきがらを始末をしてやろうとすると、彼女が戻って来たのです。3メートルほど離れてじっとこちらを見ています。
と、今度は決心したかのように、彼のそばにつかつかと力強い足取りで近づき、二度、三度、彼のくちばしをつつき、声も出さず、振り返りもせず、去って行き、戻ってきませんでした。
……この夫婦は今生(こんじょう)の別離をしたのです。はかなかった、短い一生の……。彼女は真心(まごころ)をささげて、別れのあいさつをしたのです。命がけで。
(昭和62年3月25日夕刊)
露命(ろめい)たのみ難(がた)し夢一場(ゆめいちじょう)、悲風(ひふう)吹き到って無常に驚く。死は何時(いつ)来るかわかりません、御用心!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