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아래 하늘이요 하늘 위가 물이로다 이 중에 늙은 눈에 뵈는 꽃은 안개 속인가 하노라 풍속 화가로 유명한 김홍도, 실재로는 음악의 대가로 빼어난 시인으로 서예가로 문학적 소양 또한 깊은 화가였다. 이 작품은 느긋하고 한가로운 기운이 감도는 노년의 서정이 엿보이는 작품으로 커다란 화폭에 경물은 오분의 일도 채 되지 않는다. 뿌옇게 떠오르는 공간에 중간의 가파른 절벽 위로 몇 그루 꽃나무가 안개 속에 슬쩍 얼비치며 왼쪽 아래 산자락에 뱃사공과 꽃을 치켜다보는 노인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주상관매도 designtimesp=29041>는 그림보다는 여백이 더 부각되는 작품으로 여백이 하도 넓어 어디가 하늘이고 어디가 물인지 가늠할 수가 없다. 작가는 화제로 “노년화사무중간(老年花似霧中看)” 이라 썼다. “늙은 나이에 뵈는 꽃은 안개 속을 보는 듯 하네”. 주인공의 쓸쓸한 심정을 노래하고 있는 듯하다. 아마도 정조의 각별한 사랑을 받아 오다가 정조가 승하하고 난 뒤 병고와 가난에 시달리며 불우한 노년을 보내면서 그린 작품은 아니었을까. (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중에서) 용인시민신문 |
2015년 8월 4일 화요일
김홍도의 <주상관매도>
소한식주중작(小寒食舟中作)-두보(杜甫)
소한식날 배 안에서 짓다-두보(杜甫)
佳辰强飮食猶寒(가진강음식유한) : 명절이라 억지로 먹으니 음식이 차고
隱几蕭條戴鶡冠(은궤소조대할관) : 앉은 자리 쓸쓸하고, 관은 초라한 할관을 쓴다
春水船如天上坐(춘수선여천상좌) : 봄물은 불어나 배가 하늘 위에 앉은 듯
老年花似霧中看(노년화사무중간) : 늙은이 눈에는 꽃이 안개 속에 보이는 듯 하여라
娟娟戲蝶過閒幔(연연희접과한만) : 곱게도 노는 나비는 한가히 장막을 지나가고
片片輕鷗下急湍(편편경구하급단) : 여기저기 무리지은 갈매기들 급한 여울 내려간다
雲白山靑萬餘里(운백산청만여리) : 청산에는 흰구름 만리나 멀리 떠가니
愁看直北是長安(수간직배시장안) : 수심에 바로 북쪽 바라보니, 그곳이 장안이로다
꽃에 빠지고 매화음(梅花飮)에 취하고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의 <독서여가도(讀書餘暇圖)>라는 그림이 있다. 더운 여름 한 선비가 책을 읽다 말고 툇마루에 비스듬히 앉아 부채를 부치며 더위를 식히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뒤로 보이는 책장엔 책들이 가지런히 쌓여 있고, 열려 있는 책장문의 안쪽에는 정선 화풍의 산수화가 붙어 있다. 부채에도 그림이 그려져 있다. 이 부채그림 역시 얼핏 보기에 정선화풍의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누군가는 이런 이유등을 들어 이 그림이 정선의 자화상이지 않을까 추측하기도 한다. 잠시 책을 물리고 휴식을 취하는 주인공 선비는 고급스런 도자기 화분에 심어 놓은 화초를 감상하고 있다. 그 화초는 작약과 난초다. 그런데 보면 볼수록 선비의 모습이 흥미롭다. 꽃을 바라보는 그 모습이 망연(茫然)하기 때문이다. 마치 꽃에 넋을 잃은 듯하다. 저렇게 꽃에 빠져 있다니…….
요즘도 집 마당에 꽃을 키우거나 화분에 화초를 키우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조선시대라고 지금의 우리와 크게 달랐을 리가 없다. 그런데도 이 그림이 인상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꽃을 표현한 그림은 많지만 누군가가 꽃을 감상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리라. 꽃 얘기 하는데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1745~1805년경)를 빼놓을 수 없다. 김홍도는 이런 일화를 남겼다.
김홍도는 집이 가난하여 더러는 끼니를 잇지 못하였다. 하루는 어떤 사람이 매화 한 그루를 파는데 아주 기이한 것이었다. 돈이 없어 그것을 살 수 없었는데 때마침 돈 3000전을 보내 주는 자가 있었다. 그림을 요구하는 돈이었다. 이에 그중에서 2000전을 떼어내 매화를 사고, 800전으로 술 두어 말을 사다가는 동인들을 모아 매화음(梅花飮)을 마련하고, 나머지 200전으로 쌀과 땔나무를 사니 하루의 계책도 못 되었다.
매화를 감상하면서 술을 마시는 것을 옛사람들은‘매화음(梅花飮)’이라고 불렀다. 단원은 매화음을 꽤나 좋아했던 것 같다. 매화음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는 그림이 있다. 단원의 <주상관매도(舟上觀梅圖)>다.
그림 아래쪽을 보자. 선비 두 사람이 한가로이 뱃놀이를 하고 있다. 왼쪽의 흰옷 입은 사람은 좀 젊어 보이고, 오른쪽 연한 치자빛 옷을 입은 사람은 그보다는 나이가 많아 보인다. 치자빛 옷 색깔이 참 인상적이다. 그림 윗부분으로 눈길을 돌리니 언덕에 봄날의 매화가 피었다. 작은 배에서 두 사람의 선비가 고개를 들어 언덕 위의 매화를 바라보고 있다. 배한가운데에는 작은 서안(書案)이 있고 그 위엔 도자기 술병이 놓여 있다. 저 여유로운 매화음! 그 분위기만큼이나 그림은 온통 여백이다. 그 여백이 무척이나 깊다. 시정(詩情)도 그윽하다. 김홍도는 그림 오른쪽 위에 중국 시인 두보(杜甫)의 시 한 구절을 써 넣었다. ‘老年花似霧中看(노년화사무중간)’, ‘늙은이가 보는 꽃은 안개 속에서 보는 것 같다’는 뜻. 이 구절을 읽고 나니 화면의 여백이 안개 속 같아 보인다. 욕심을 버리고 매화를 벗하며 살아가는 조선 선비들의 낭만이 저런 것일까.
조선시대 선비나 문인예술가들은 이렇게 꽃을 사랑하고 매화음을 즐겼다. 그럼, 대체 어느 정도 꽃을 좋아했던 것일까. 18, 19세기 꽃에 대한 관심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이었다. 꽃의 감상은 물론이고 수집과 재배도 유행이었다고 한다. 소나무, 대나무, 국화, 매화의 분재를 좋아했다. 동백처럼 남녘땅에서 자라는 꽃나무들도 한양으로 들여와 사고팔았다. 국화꽃도 인기가 높았다.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역시 서울 명례방 집에 16종의 국화 화분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국화로 집을 꾸미는 사람도 많았고 국화꽃을 감상하는 모임까지 열렸을 정도였다. 이렇다보니 한양엔 꽃을 팔아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매화 분재를 출세길의 뇌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는 수선화를 좋아했다. 그는 제주 유배시절, 수선화의 청순함을 보면서 시련을 견뎠고 다산 정약용에게 수선화를 선물하기도 했다. 18, 19세기 사람들은 이렇게 꽃을 좋아했다.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1707~1769)의 <선유도(船遊圖)>에서도 꽃을 좋아했던 선비들의 청완(淸玩) 취미를 엿볼 수 있다. 파도가 거칠게 일렁이는 바다에서 뱃놀이를 하는 선비 두 명의 모습이다. 그런데 이들의 뱃놀이가 범상치 않다. 파도가 소용돌이치는데도 두 선비는 태연자약이다. 안달이 난 파도를 향해 외려 옅은 미소를 보내며 관조하고 있다. 엉덩이를 쭉 빼고 배의 균형을 잡으려 힘겹게 노를 젓고 있는 사공의 모습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배 위의 풍경이다. 그 소용돌이의 와중에 배 한가운데 에 서안이 떡 하니 놓여 있고 그 위에 서책과 자기 화병, 술잔이 놓여 있다. 화병에 홍매(紅梅)가 꽂혀 있으니 이 또한 선상(船上)의 매화음이다. 서안 바로 옆엔 고목등걸이 있고 그 꼭대기에 학이 앉아 있다. 이것도 경이로운 풍경이다. 배는 흔들리는데 학은 아무렇지도 않은 모양이다. 학은 바다에서 날아온 학이 아니라 두 선비가 키우는 애완용 학일 것이다. 조선 후기엔 집에서 학을 키우는 선비들도 있었다. 저 위태롭기 짝이 없어 보이는 파도 속에서도 매화음을 즐기며 뱃놀이를 하는 옛 사람들의 여유로운 아취! 그림으로 보니 더욱 이색적이고 흥미롭다.
글˚이광표 (동아일보 기자)
2015년 7월 27일 월요일
체스(chess)
체스(chess)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8줄씩 64칸으로 격자로 배열 된 체스보드에서 두 명의 플레이어가 피스들을 규칙에 따라 움직여 싸우는 보드 게임이다. 세계에서 가장 대중적인 게임 중 하나이다.
플레이어는 킹 1개, 퀸 1개, 룩 2개, 나이트와 비숍 그리고 폰 8개로 총 16개의 피스를 가지고 시작하고 피스 6개는 각각 다르게 이동한다. 피스는 상대의 피스를 공격하는데 사용되고 게임의 목적은 상대의 킹을 체크메이트하는 것이다. 체크메이트뿐만 아니라 상대가 리사인(Resign)을 해서 이길수도 있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무승부가 생길 수 있다. 게임의 과정은 오프닝, 미들게임과 엔드게임 세단계로 나누어져있다.
20세기 후반 이후 컴퓨터가 체스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하였고 PC가 매우 높은 수준에서 체스를 플레이 할 수 있는 지점까지 왔다. 인간 플레이어에 의해 컴퓨터 분석과 체스 이론과 특히 엔드게임에 크게 기여하였다. 컴퓨터 딥 블루는 1997년 세계 체스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를 이긴 최초의 기계 플레이어다.
피스는 화이트와 블랙으로 나뉜다. 플레이어는 화이트와 블랙으로 각각 16개의 피스를 갖고 게임을 시작한다. 1개의 킹, 퀸 2개의 룩, 비숍과 나이트, 8개의 폰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피스는 이동의 특징이 있다. 아래의 보드에서 점은 다른 피스가 초기상태와 목적지 사이의 칸에 없는 경우 피스가 이동 할 수 있는 칸을 표시한다.
캐슬링은 각 플레이어에게 1회의 게임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는 권리이다. 매우 효율이 좋은 수이기에 거의 모든 플레이어가 자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편리한 반면 이 수는 지키지 않으면 안 되는 조건(제약)도 많다.
체스에 있어서 자신의 피스를 한 번에 2개를 움직이는 수는 캐슬링 이외에 존재하지 않는다. 캐슬링은 의무는 아니지만 거의 모든 게임에서 화이트와 블랙 모두 빈번히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사용에 관해서는 몇 가지 조건(제약)이 있다.
체크메이트, 스테일메이트, 리사인(Resign), 50 수 무승부, 쓰리폴드 레피티션이 됐을때 게임은 끝이난다.
Qg5는 g파일에 5번랭크로 퀸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피스가 같은 피스가 같은 칸으로 이동이 가능한경우 Ngf3로 표기한다. g파일에 나이트가 f3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폰은 P로 표기하지않고 e4로 표기한다. 폰이 e4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스를 잡을 경우엔 가운데 "x"를 표기한다. Bxf3는 비숍 (체스)이 f3에 피스를 잡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폰이 피스를 잡을 경우 exd5 또는 exd로 표기한다. e파일에 폰이 d5에 피스를 잡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폰이 마지막 랭크로 이동해서 프로모션을 할 경우 e1Q 또는 e1=Q로 표기한다. 캐슬링을 할 경우 킹사이드 캐슬링은 0-0 퀸사이드 캐슬링은 0-0-0으로 표기한다.(숫자 0) 폰이 양파상으로 폰을 잡을 경우 동일하게 표기하지만 모를 수도 있으므로 "e.p."등으로 표기한다. 상대의 킹을 체크 할 경우엔 "+"로 표기한다. 체크메이트를 했을경우 "#"으로 표기한다. ("++"은 더블 체크다.) 게임이 끝나고 화이트가 이겼을 경우 "1-0" 블랙이 이겼을경우 "0-1"로 무승부일 경우 "½–½"로 표기한다.
각 수의 대한 주석은 구두점을 이용한다. "!" 좋은 수, "!!" 아주 좋은수, "?" 실수, "??" 블런더, "!?" 괜찮은수, "?!" 의심이 가는수로 표기한다.
컴퓨터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체스용 표기 포맷 PGN이 있다.
1. 포크-한 피스가 2개 이상의 피스를 공격하는 경우
2. 핀-뒤의 피스 때문에 앞의 피스가 움직일 수 없는 경우
3. 스큐어-앞의 피스를 움직일수밖에 없어서 뒤의 피스가 잡히는 경우
4. 츠비셴추크(Zwischenzug) 상대가 어떤 행동을 할 것이다 라고 생각을 하고 움직이는데 예상 외에 다르게, 그리고 강력하게 움직이는 수.
5. 캐슬링(Castling) 킹을 2칸 움직이고 룩을 바깥쪽으로 대어서 킹을 보호하는 특별한 움직임.
6. 블런더(Blunder) 단기적으로 나쁜 움직임.
7. 프로모션(promotion) 폰이 상대방 끝쪽 랭크에 도달하여 다른 말로 승진을 하는 움직임.
8. 메이트(Mate) 킹이 어떤 말에게서 공격을 받고 있을 때 하는 말.
9. 체크메이트(Checkmate) 킹을 어떤 말이 공격하는데 킹이 어디로 가거나 다른 말로 보호할 수 없어서 어떻게든 다음 턴에 킹이 잡히는게 확실할 때 그 플레이어는 패배하는 것을 일컫는 말.
10. 체크(Check) 킹을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수.
11. 피엔쳬토, 폔쳬토, 피앙케토(Fianchetto) 끝쪽 폰 3개 중에서 중간 하나만 한 칸을 앞으로 전진시키고 그 자리에 비숍을 놓음으로써 아주 긴 대각선을 차지하는 수들의 묶음.
12. 리사인(Resign) 기권.
13. 트레이트(Trade) 같은 말이나 나이트와 비숍관에 대해서 서로 잡고 잡는 관계.
14. 앙파상(En Passant) 폰이 2칸 전진했는데 그 폰이 바로 자기 옆에 있을 때 잡는 기술.
플레이어는 킹 1개, 퀸 1개, 룩 2개, 나이트와 비숍 그리고 폰 8개로 총 16개의 피스를 가지고 시작하고 피스 6개는 각각 다르게 이동한다. 피스는 상대의 피스를 공격하는데 사용되고 게임의 목적은 상대의 킹을 체크메이트하는 것이다. 체크메이트뿐만 아니라 상대가 리사인(Resign)을 해서 이길수도 있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무승부가 생길 수 있다. 게임의 과정은 오프닝, 미들게임과 엔드게임 세단계로 나누어져있다.
20세기 후반 이후 컴퓨터가 체스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하였고 PC가 매우 높은 수준에서 체스를 플레이 할 수 있는 지점까지 왔다. 인간 플레이어에 의해 컴퓨터 분석과 체스 이론과 특히 엔드게임에 크게 기여하였다. 컴퓨터 딥 블루는 1997년 세계 체스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를 이긴 최초의 기계 플레이어다.
목차
[숨기기]규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체스 규칙입니다.
경기준비[편집]
체스는 가로 8칸(랭크는 가로 1부터 8), 세로 8줄(파일은 세로 a 부터 h)로 된 사각형 보드로 플레이한다. 64칸의 색상은 밝은 칸(light squares)과 어두운 칸(dark squares)으로 나뉜다. 보드는 각 플레이어의 왼쪽에서 가까운 랭크의 어두운 칸(dark squares)이 오도록 해야하고 퀸은 플레이어의 색상에 맞게 위치한다.피스는 화이트와 블랙으로 나뉜다. 플레이어는 화이트와 블랙으로 각각 16개의 피스를 갖고 게임을 시작한다. 1개의 킹, 퀸 2개의 룩, 비숍과 나이트, 8개의 폰으로 구성되어있다.
행마법[편집]
항상 화이트가 먼저 이동한다. 플레이어는 번갈아가면서 1개의 피스를 이동해야된다. (캐슬링은 제외) 피스를 잡으면 보드에서 제거된다. 앙파상을 제외하고 상대의 피스의 칸으로 이동해서 상대의 피스를 잡는다. 플레이어가 움직일 수 없는 경우 게임은 끝이 난다. 그것은 체크메이트 또는 스테일메이트 중 하나다.각 피스는 이동의 특징이 있다. 아래의 보드에서 점은 다른 피스가 초기상태와 목적지 사이의 칸에 없는 경우 피스가 이동 할 수 있는 칸을 표시한다.
- 폰은 초기상태에서 한 칸 혹은 두 칸을 전진할 수 있고 한 번 움직인 이상 하나씩만 전진할 수 있으며, 후퇴가 불가능하다(한국식 장기의 졸(卒)과 같음). 상대방의 피스는 대각선 한 칸으로만 잡을 수 있다. 특별한 움직임으로 프로모션과 앙파상이 있다.
- 룩은 전후와 좌우로 칸 수의 제한 없이 움직일 수 있다(한국식 장기의 차(車)와 같음). 룩은 킹이 캐슬링할때 필요하다.
- 비숍은 대각선 방향으로 칸 수의 제한 없이 움직일 수 있다. 어두운 칸 비숍, 밝은 칸 비숍은 자기의 색의 칸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다.
- 나이트는 두 칸 전진한 상태에서 좌우로 한 칸 움직일 수 있다(한국식 장기의 마(馬)와 같음). 피스들 중에서 유일하게 다른 피스를 뛰어넘을 수 있다.
- 퀸은 전후좌우, 대각선으로 칸수 제한 없이 움직일 수 있다. 다방면으로 칸수 제한 없이 움직일 수 있어 피스 중 가장 강력하다고 할 수 있다.
- 킹은 전후좌우, 대각선으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다. 룩과 캐슬링을 할 수 있다.
킹의 이동
룩의 이동
비숍의 이동
퀸의 이동
나이트의 이동
폰의 이동
캐슬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캐슬링입니다.
캐슬링(Castling)은 체스의 룰의 하나이다. 킹과 룩을 한 번에 동시에 움직이는 특수한 수를 가리킨다.캐슬링은 각 플레이어에게 1회의 게임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는 권리이다. 매우 효율이 좋은 수이기에 거의 모든 플레이어가 자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편리한 반면 이 수는 지키지 않으면 안 되는 조건(제약)도 많다.
체스에 있어서 자신의 피스를 한 번에 2개를 움직이는 수는 캐슬링 이외에 존재하지 않는다. 캐슬링은 의무는 아니지만 거의 모든 게임에서 화이트와 블랙 모두 빈번히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사용에 관해서는 몇 가지 조건(제약)이 있다.
- 킹과 캐슬링하는 측의 룩 모두가 초기배치에서 움직인 적이 있으면 안 된다.
- 킹과 캐슬링하는 측의 룩 사이에 다른 피스가 있어서는 안 된다.
- 현재 킹이 체크되어 있거나 현재 킹이 통과 하는 칸에 피스가 공격/이동이 가능해서는 안 된다.
앙파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앙파상입니다.
흰색 폰이 5번 랭크에 있고 검정색 폰이 처음 2칸 전진을 하면 흰색 폰은 검정색 폰을 잡을 수 없지만 양파상을 이용해 대각선으로 이동하면서 검정색 폰을 넘은 규칙으로 검정색 폰을 잡을 수 있는 규칙이다. 일반적인 폰이 대각선으로 피스를 잡는 "x"를 쓰지만 모를 수도 있으므로 명시할 경우 기호인 "e.p."로 표기한다.프로모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프로모션 (체스)입니다.
폰이 상대방 진영 끝 랭크까지 갔을때 킹,폰을 제외한 퀸,룩,비숍,나이트 피스로 프로모션 할 수 있다. 보통 폰은 퀸으로 프로모션하지만 다른 피스를 선택하는 것을 언더프로모션이라고 한다. 프로모션하는 피스의 개수 제한은 없다. 단, 폰은 프로모션 후, 그 자리에서 다른 말로 변한 다음, 상대방의 차례 후, 움직일 수도 있다. 단, 킹이 체크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킹을 피하거나, 공격을 막거나, 체크 하는 기물을 잡는다. 즉, 관련된 것을 한다.체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체크 (체스)입니다.
- 킹 이외의 기물로 적의 킹을 공격하는 수를 체크라고 한다.
- 체크된 상태에서는 킹이 잡히지 않도록 반드시 대처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적으로부터 체크의 대처하는 방법은 다음 3가지이다.
- 공격을 받고 있는 자신의 킹을 안전한 장소로 움직인다.
- 아군의 기물로 방어한다.
- 현재 체크하고 있는 기물을 잡는다.
경기 종료[편집]
체스 기보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체스 표기법입니다.
체스 표기법(Chess notation)은 피스의 움직임을 기록하기 위해 만들어진것이다.Qg5는 g파일에 5번랭크로 퀸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피스가 같은 피스가 같은 칸으로 이동이 가능한경우 Ngf3로 표기한다. g파일에 나이트가 f3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폰은 P로 표기하지않고 e4로 표기한다. 폰이 e4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스를 잡을 경우엔 가운데 "x"를 표기한다. Bxf3는 비숍 (체스)이 f3에 피스를 잡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폰이 피스를 잡을 경우 exd5 또는 exd로 표기한다. e파일에 폰이 d5에 피스를 잡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폰이 마지막 랭크로 이동해서 프로모션을 할 경우 e1Q 또는 e1=Q로 표기한다. 캐슬링을 할 경우 킹사이드 캐슬링은 0-0 퀸사이드 캐슬링은 0-0-0으로 표기한다.(숫자 0) 폰이 양파상으로 폰을 잡을 경우 동일하게 표기하지만 모를 수도 있으므로 "e.p."등으로 표기한다. 상대의 킹을 체크 할 경우엔 "+"로 표기한다. 체크메이트를 했을경우 "#"으로 표기한다. ("++"은 더블 체크다.) 게임이 끝나고 화이트가 이겼을 경우 "1-0" 블랙이 이겼을경우 "0-1"로 무승부일 경우 "½–½"로 표기한다.
각 수의 대한 주석은 구두점을 이용한다. "!" 좋은 수, "!!" 아주 좋은수, "?" 실수, "??" 블런더, "!?" 괜찮은수, "?!" 의심이 가는수로 표기한다.
컴퓨터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체스용 표기 포맷 PGN이 있다.
전술[편집]
이 부분은 토막글입니다. 서로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이 부분의 본문은 체스 전술입니다.
체스에서 전술은 이동의 순서와 상대의 수를 제한하고 이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1. 포크-한 피스가 2개 이상의 피스를 공격하는 경우
2. 핀-뒤의 피스 때문에 앞의 피스가 움직일 수 없는 경우
3. 스큐어-앞의 피스를 움직일수밖에 없어서 뒤의 피스가 잡히는 경우
4. 츠비셴추크(Zwischenzug) 상대가 어떤 행동을 할 것이다 라고 생각을 하고 움직이는데 예상 외에 다르게, 그리고 강력하게 움직이는 수.
5. 캐슬링(Castling) 킹을 2칸 움직이고 룩을 바깥쪽으로 대어서 킹을 보호하는 특별한 움직임.
6. 블런더(Blunder) 단기적으로 나쁜 움직임.
7. 프로모션(promotion) 폰이 상대방 끝쪽 랭크에 도달하여 다른 말로 승진을 하는 움직임.
8. 메이트(Mate) 킹이 어떤 말에게서 공격을 받고 있을 때 하는 말.
9. 체크메이트(Checkmate) 킹을 어떤 말이 공격하는데 킹이 어디로 가거나 다른 말로 보호할 수 없어서 어떻게든 다음 턴에 킹이 잡히는게 확실할 때 그 플레이어는 패배하는 것을 일컫는 말.
10. 체크(Check) 킹을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수.
11. 피엔쳬토, 폔쳬토, 피앙케토(Fianchetto) 끝쪽 폰 3개 중에서 중간 하나만 한 칸을 앞으로 전진시키고 그 자리에 비숍을 놓음으로써 아주 긴 대각선을 차지하는 수들의 묶음.
12. 리사인(Resign) 기권.
13. 트레이트(Trade) 같은 말이나 나이트와 비숍관에 대해서 서로 잡고 잡는 관계.
14. 앙파상(En Passant) 폰이 2칸 전진했는데 그 폰이 바로 자기 옆에 있을 때 잡는 기술.
단계[편집]
오프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체스 오프닝입니다.
체스 오프닝(chess opening)은 체스 게임 초반부와 게임 초반부의 수들을 정리해 놓은 것을 가리킨다.미들게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체스 미들게임입니다.
미들게임(middlegame)은 체스의 오프닝과 엔드게임 사이의 중반부를 말한다.엔드게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체스 엔드게임입니다.
체스와 체스같은 보드 게임의 엔드게임(endgame)은 보드에 소수의 피스가 남아있는 종반전이다. 미들게임이 끝난 종반전을 말한다.타이틀과 랭킹[편집]
세계 체스 연맹(FIDE)이 수여하는 타이틀.타이틀 | 남자 | 여자 |
---|---|---|
그랜드마스터 | GM | WGM |
인터네셔널 마스터 | IM | WIM |
FIDE 마스터 | FM | WFM |
캔디데이트 마스터 | CM | WCM |
수학 및 컴퓨터[편집]
컴퓨터 체스, :en:List of mathematicians who studied chess, :en:Human-computer chess matches, :en:딥 블루 versus 가리 카스파로프, 체스 엔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변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변형 체스입니다.
변형 체스는 체스를 변형시킨 것이다. 여러종류가 있다.체스 소프트웨어[편집]
- 체스 타이탄스
- 체스 (응용 프로그램) (Chess (application))
- 프릿츠 (en:Fritz)
- 딥 프릿츠 (en:Fritz)
- 체스베이스 (en:ChessBase)
- 체스마스터 그랜드마스터 (en:Chessmaster)
- 프리 인터넷 체스 서버 (FICS)
체스가 등장하는 작품[편집]
영화[편집]
- 007 위기일발 (en:From Russia with Love (film)) [1]
- 나이트 무브
- 위대한 승부 (en:Searching for Bobby Fischer)
- 쇼생크 탈출
- 비밀의 그림
- 기묘한 이야기 (ja:世にも奇妙な物語)
- 체스왕 루진
-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 배드 컴퍼니 (en:Bad Company (2002 film))
- 큐브 제로 (en:Cube Zero)
- 리볼버 (en:Revolver (disambiguation))
- 럭키 넘버 슬레븐 (en:Lucky Number Slevin)
- 데스노트
- 셜록 홈즈: 그림자 게임
- 에이스벤츄라 2 (en:Ace Ventura: When Nature Calls)
- 오스틴 파워
- 엑스맨: 퍼스트 클래스 (X-Men: First Class, 2011)
드라마[편집]
애니메이션[편집]
- 게리의 게임 (en:Geri's Game)
- 카우보이 비밥
- 라스트 엑자일
- 코드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 하이스쿨 DxD
-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en:Sailor Moon) (ja:美少女戦士セーラームーン)
- 명탐정 코난 (en:Case Closed) (ja:名探偵コナン)
- 괭이갈매기 울 적에 (ja:うみねこのなく頃に)
- 노 게임 노 라이프
- 죠죠의 기묘한 모험
소설[편집]
- 플랑드르 거장의 그림 (es:La tabla de Flandes)
- 뇌 (베르나르 베르베르)
- 거울 나라의 앨리스 (루이스 캐럴)
- 유니콘 변주곡 (로저 젤라즈니/판타스틱 게재)
- 깊이에의 강요(승부) (파트리크 쥐스킨트)
- 체스두는 여자 (베르티나 헨릭스)
게임[편집]
같이 보기[편집]
주석[편집]
[숨기기] 체스(분류) | |
---|---|
개요 | 역사 · 규칙 · 세계 선수권 대회 · 토너먼트 · 컴퓨터 · 변형 체스 · 레이팅 · 타이틀 · 퍼스트-무브 어드밴티지 |
장비 | 체스판 · 체스 세트 (킹 · 퀸 · 룩 · 비숍 · 나이트 · 폰) · 대국 시계 · 체스 테이블 |
규칙 | 프로모션 · 캐슬링 · 앙파상 · 체크 · 체크메이트 · 더블 체크 · 무승부 (합의 무승부 · 50수 규칙 · 3회 동형반복 · 영원한 체크 · 스테일메이트) · 터치무브 |
용어 | 배터리 (알레힌의 총) · 블런더 · 체스 엔진 · 체스 표기법 (대수기보법 · 설명기보법 · PGN · 애너테이션 심볼 · FEN) · 피앙케토 · 갬빗 · 키 스퀘어 · 킹 워크 · 폰 (커넥티드 · 아이솔레이티드 · 더블드 · 백워드 · 패스드) · 오픈 파일 (하프-오픈 파일) · 어포지션 · 템포 · 더 익스체인지 · 트랜스포지션 · X-ray · 추크츠방 · 즈비션주그 |
전술 | 크로스 체크 · 디코이 · 디플렉션 · 데스페라도 · 디스커버드 어택 · 포크 · 인터피어런스 · 오버로딩 · 폰 스톰 · 핀 · 희생 · 스큐어 · 트라이앵귤레이션 · 언더마이닝 · 윈드밀 |
전략 | 아티피셜 캐슬링 · 교환 · 포트리스 · 폰 스트럭처 · 스윈들 · 타라시 룰 |
오프닝 | 잉글리시 오프닝 · 퀸스 갬빗 · 인디언 디펜스 · 루이 로페즈 · 카로-칸 디펜스 · 시실리안 디펜스 · 프렌치 디펜스 · 슬라브 디펜스 |
엔드게임 | 엔드게임 테이블베이스 · 킹 앤드 폰 vs 킹 · 폰리스 엔드게임 · 퀸 앤드 폰 vs 퀸 · 퀸 vs 폰 · 룩 앤드 폰 vs 룩 · 투 나이트 엔드게임 · |
체크메이트 | 체크메이트 패턴 · 비숍과 나이트 체크메이트 · 백-랭크 체크메이트 · 풀스 메이트 · 스칼러스 메이트 · 스모더드 메이트 · 보덴의 메이트 |
둘러보기 메뉴
다른 언어
- Afrikaans
- Alemannisch
- አማርኛ
- Aragonés
- Ænglisc
- العربية
- ܐܪܡܝܐ
- مصرى
- Asturianu
- Azərbaycanca
- Башҡортса
- Boarisch
- Žemaitėška
- Беларуская
- 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
- Български
- भोजपुरी
- Bahasa Banjar
- বাংলা
- བོད་ཡིག
- Brezhoneg
- Bosanski
- Буряад
- Català
- Mìng-dĕ̤ng-ngṳ̄
- Нохчийн
- کوردیی ناوەندی
- Čeština
- Чӑвашла
- Cymraeg
- Dansk
- Deutsch
- Dolnoserbski
- ދިވެހިބަސް
- Ελληνικά
- English
- Esperanto
- Español
- Eesti
- Euskara
- فارسی
- Suomi
- Võro
- Føroyskt
- Français
- Nordfriisk
- Frysk
- Gaeilge
- 贛語
- Gàidhlig
- Galego
- ગુજરાતી
- עברית
- हिन्दी
- Fiji Hindi
- Hrvatski
- Hornjoserbsce
- Kreyòl ayisyen
- Magyar
- Հայերեն
- Interlingua
- Bahasa Indonesia
- Interlingue
- Ilokano
- Ido
- Íslenska
- Italiano
- 日本語
- Lojban
- Basa Jawa
- ქართული
- Қазақша
- ಕನ್ನಡ
- Kurdî
- Кыргызча
- Latina
- Lëtzebuergesch
- Лезги
- Limburgs
- Lietuvių
- Latviešu
- Malagasy
- Македонски
- മലയാളം
- Монгол
- मराठी
- Bahasa Melayu
- Mirandés
- မြန်မာဘာသာ
- Nāhuatl
- Plattdüütsch
- Nedersaksies
- नेपाली
- नेपाल भाषा
- Nederlands
- Norsk nynorsk
- Norsk bokmål
- Occitan
- ଓଡ଼ିଆ
- Ирон
- ਪੰਜਾਬੀ
- Polski
- پنجابی
- پښتو
- Português
- Runa Simi
- Română
- Русский
- Русиньскый
- संस्कृतम्
- Саха тыла
- Sicilianu
- Scots
- Sámegiella
- 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
- සිංහල
- Simple English
- Slovenčina
- Slovenščina
- Shqip
- Српски / srpski
- Basa Sunda
- Svenska
- Kiswahili
- தமிழ்
- తెలుగు
- Тоҷикӣ
- ไทย
- Türkmençe
- Tagalog
- Türkçe
- Татарча/tatarça
- Українська
- اردو
- Oʻzbekcha/ўзбекча
- Vèneto
- Vepsän kel’
- Tiếng Việt
- Volapük
- Winaray
- 吴语
- Хальмг
- IsiXhosa
- ייִדיש
- 中文
- Bân-lâm-gú
- 粵語
- 이 문서는 2015년 7월 4일 (토) 22:59에 마지막으로 바뀌었습니다.
-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
Wikipedia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