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망 효과' 경험하면 인생관 바뀌어
스마트폰에 빠져 삶 허비할 때 아니야
요즘은 해가 저녁 늦게, 그리고 오래 떨어져서 참 좋다. 화실로 가는 길에 석양을 마주하며 듣는 클래식FM의 음악도 기막히다. 슈베르트의 가곡 '저녁노을(Abendrot)'이 흘러나온다. 테너 프리츠 분더리히의 노래가 최고다. 바리톤의 저음은 저녁노을의 '경외감'을 전달하기에 너무 무겁다. 소프라노는 반대로 너무 들떠 있다. 슈베르트 가곡은 피아노의 선율을 함께 느껴야 한다. 피아노가 스스로 노래하기 때문이다. 목소리와 피아노가 서로 다른 노래를 하는 것 같지만 묘하게 어울리며 흘러간다.
여수 여자만(汝自湾) 갯벌 저편으로 천천히 떨어지는 저녁노을에 그저 하염없이 앉아 있다. 최백호의 노래 '부산에 가면'도 하염없이 앉아 듣기에 참 좋다. 피아노의 멜로디와 가수의 노래가 제각기 진행되는 에코브리지의 작곡이 참으로 빛난다. 피아노의 반복되는 리듬에 중독될 즈음이면 최백호가 노래하는 가사가 비로소 귀에 들어온다.
'어디로 가야 하나, …오래된 바다만, 오래된 우리만….' 최백호의 목소리는 연신 떨린다. 이쯤 되면 최백호와 프리츠 분더리히는 동급이다.
여수도 이제 노래 바꿀 때가 됐다. 그동안 '여수 밤바다'를 너무 많이 틀었다. 주말 밤이면 아저씨까지 술 취해서 떼로 몰려다니며 '여수 밤바다'를 불러댄다. 가사도 딱 '여수 밤바다'까지만이다. 나머지는 죄다 '라라라' 경음악이다. 듣는 내가 더 답답하다.
'하염없음'은 시간이 정지되고, 유체 이탈처럼 '또 다른 나'가 공중 부양하며 세상을 내려다보는 것 같은 경험이다. 철학적 '자기 성찰'이란 심리학적으로는 '경외감'과 '하염없음'으로 야기되는 '인지적 전환(cognitive shift)'이다. 도무지 감당할 수 없이 엄청난 대자연 앞에서 내가 갖고 있는 현재의 인지 체계로는 그 어떠한 설명과 해석도 불가능하다. 남은 방법은 오직 한 가지뿐이다. 내 인지 체계를 통째로 바꾸는 일이다. 인간의 모든 미학적(美學的) 경험은 이 같은 '인지적 전환'과 깊이 관계되어 있다.
여수 여자만(汝自湾) 갯벌 저편으로 천천히 떨어지는 저녁노을에 그저 하염없이 앉아 있다. 최백호의 노래 '부산에 가면'도 하염없이 앉아 듣기에 참 좋다. 피아노의 멜로디와 가수의 노래가 제각기 진행되는 에코브리지의 작곡이 참으로 빛난다. 피아노의 반복되는 리듬에 중독될 즈음이면 최백호가 노래하는 가사가 비로소 귀에 들어온다.
'어디로 가야 하나, …오래된 바다만, 오래된 우리만….' 최백호의 목소리는 연신 떨린다. 이쯤 되면 최백호와 프리츠 분더리히는 동급이다.
여수도 이제 노래 바꿀 때가 됐다. 그동안 '여수 밤바다'를 너무 많이 틀었다. 주말 밤이면 아저씨까지 술 취해서 떼로 몰려다니며 '여수 밤바다'를 불러댄다. 가사도 딱 '여수 밤바다'까지만이다. 나머지는 죄다 '라라라' 경음악이다. 듣는 내가 더 답답하다.
'하염없음'은 시간이 정지되고, 유체 이탈처럼 '또 다른 나'가 공중 부양하며 세상을 내려다보는 것 같은 경험이다. 철학적 '자기 성찰'이란 심리학적으로는 '경외감'과 '하염없음'으로 야기되는 '인지적 전환(cognitive shift)'이다. 도무지 감당할 수 없이 엄청난 대자연 앞에서 내가 갖고 있는 현재의 인지 체계로는 그 어떠한 설명과 해석도 불가능하다. 남은 방법은 오직 한 가지뿐이다. 내 인지 체계를 통째로 바꾸는 일이다. 인간의 모든 미학적(美學的) 경험은 이 같은 '인지적 전환'과 깊이 관계되어 있다.
우주선을 타고 먼 우주에서 처음 지구를 바라본 우주비행사들은 지구에 귀환한 후 인생관이 완전히 바뀌었다. 그 누구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관점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이를 가리켜 미국의 작가 프랭크 화이트는 '조망 효과(Overview Effect)'라고 했다. 건축가이자 디자이너 찰스 임스와 레이 임스 부부가 만든 '10의 제곱수(Powers of Ten)'라는 9분짜리 다큐멘터리를 보면 우주비행사와 비슷한 경험을 할 수 있다.
화면의 관점은 공원에 앉아 있는 남녀 한 쌍을 1m 위에서 바라보는 장면에서 시작해서 매초마다 10배씩 높아진다. 채 몇 분이 되지 않아 지구가 속한 은하계마저 하나의 점이 되어버린다. 오늘날 '구글 어스(Google Earth)'라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누구나 '조망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인간이 세상을 보는 기준은 항상 자기 몸이다. 어릴 적 그렇게 컸던 학교 운동장이 나이가 들어 찾아가보면 그렇게 작을 수가 없다. 그 넓었던 집 앞 '신작로'가 그렇게 좁을 수가 없다. 내 몸을 기준으로 보기 때문이다. 초등학생의 작은 몸으로 본 세상은 크고 놀라웠다. 호기심에 가득 차 세상을 올려다봤다. 그러나 성인의 몸을 기준으로 보면 죄다 시시하고, 볼품없다.
지금 내 삶이 지루하고 형편없이 느껴진다면, 지금의 내 관점을 기준으로 하는 인지 체계가 그 시효를 다했다는 뜻이다. 내 삶에 그 어떤 감탄도 없이, 그저 한탄만 나온다면 내 관점을 아주 긴급하게 상대화시킬 때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멀리 봐야 한다. 자주 올려다봐야 한다. '저녁노을 앞에서의 하염없음'과 같은 공간적 오리엔테이션의 변화는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를 동반한다. 미국 텍사스 대학의 심리학자 프레드 프레빅은 인간과 동물의 결정적 차이는 '도파민으로 활성화되는 뇌(Dopaminergic Mind)'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도파민은 주로 '먼 공간'이나 '높은 공간'과 같은 '개인 외적 공간(Extrapersonal Space)'과 관계하는 반면,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호르몬은 손이 닿는 '주변 사람 공간(Peripersonal Space)'과 관계한다. 도파민으로 활성화되는 '개인 외적 공간'의 분석 능력이 인간 문명을 가능케 했다는 것이다.
구체적 맥락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인간의 추상적 사고와 창조적 문제 해결 능력은 '먼 곳', '높은 곳'을 조망하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래서 인간은 복잡한 문제가 생기면 눈을 위로 치켜뜨며 생각하는 거다. 지금 '25×9'를 암산해보라. 계산하며 당신의 눈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저절로 위를 보게 된다. 뭔가를 골똘히 생각할 때, 내 시선은 스스로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아주 먼 곳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서양의 성당이나 왕궁의 천장이 그렇게 높은 이유도 마찬가지다. 건물에 들어서면 저절로 위를 올려다보게 된다. 이때 느끼는 경외감을 통해 자발적인 '인지적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인간만 올려다본다!
자주 까먹고, 물건을 손에서 놓치고, 물을 쏟고, 오가며 문짝에 자꾸 부딪힌다고 불평할 일이 아니다. 가까운 것들에 대해 둔해지는 만큼, 멀고 높은 곳을 바라보는 거시적 안목과 탈맥락적 시선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나이 들수록 전에는 안 머리 처박고 분노하고 한탄하며 내 한 번뿐인 삶을 허비할 때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시간 날 때마다 멀리 봐야 한다. 올려다봐야 한다. 그래야 제한된 우리의 삶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창조적 통찰이 가능해진다.
화면의 관점은 공원에 앉아 있는 남녀 한 쌍을 1m 위에서 바라보는 장면에서 시작해서 매초마다 10배씩 높아진다. 채 몇 분이 되지 않아 지구가 속한 은하계마저 하나의 점이 되어버린다. 오늘날 '구글 어스(Google Earth)'라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누구나 '조망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인간이 세상을 보는 기준은 항상 자기 몸이다. 어릴 적 그렇게 컸던 학교 운동장이 나이가 들어 찾아가보면 그렇게 작을 수가 없다. 그 넓었던 집 앞 '신작로'가 그렇게 좁을 수가 없다. 내 몸을 기준으로 보기 때문이다. 초등학생의 작은 몸으로 본 세상은 크고 놀라웠다. 호기심에 가득 차 세상을 올려다봤다. 그러나 성인의 몸을 기준으로 보면 죄다 시시하고, 볼품없다.
지금 내 삶이 지루하고 형편없이 느껴진다면, 지금의 내 관점을 기준으로 하는 인지 체계가 그 시효를 다했다는 뜻이다. 내 삶에 그 어떤 감탄도 없이, 그저 한탄만 나온다면 내 관점을 아주 긴급하게 상대화시킬 때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멀리 봐야 한다. 자주 올려다봐야 한다. '저녁노을 앞에서의 하염없음'과 같은 공간적 오리엔테이션의 변화는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를 동반한다. 미국 텍사스 대학의 심리학자 프레드 프레빅은 인간과 동물의 결정적 차이는 '도파민으로 활성화되는 뇌(Dopaminergic Mind)'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도파민은 주로 '먼 공간'이나 '높은 공간'과 같은 '개인 외적 공간(Extrapersonal Space)'과 관계하는 반면,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호르몬은 손이 닿는 '주변 사람 공간(Peripersonal Space)'과 관계한다. 도파민으로 활성화되는 '개인 외적 공간'의 분석 능력이 인간 문명을 가능케 했다는 것이다.
구체적 맥락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인간의 추상적 사고와 창조적 문제 해결 능력은 '먼 곳', '높은 곳'을 조망하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래서 인간은 복잡한 문제가 생기면 눈을 위로 치켜뜨며 생각하는 거다. 지금 '25×9'를 암산해보라. 계산하며 당신의 눈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저절로 위를 보게 된다. 뭔가를 골똘히 생각할 때, 내 시선은 스스로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아주 먼 곳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서양의 성당이나 왕궁의 천장이 그렇게 높은 이유도 마찬가지다. 건물에 들어서면 저절로 위를 올려다보게 된다. 이때 느끼는 경외감을 통해 자발적인 '인지적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인간만 올려다본다!
자주 까먹고, 물건을 손에서 놓치고, 물을 쏟고, 오가며 문짝에 자꾸 부딪힌다고 불평할 일이 아니다. 가까운 것들에 대해 둔해지는 만큼, 멀고 높은 곳을 바라보는 거시적 안목과 탈맥락적 시선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나이 들수록 전에는 안 머리 처박고 분노하고 한탄하며 내 한 번뿐인 삶을 허비할 때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시간 날 때마다 멀리 봐야 한다. 올려다봐야 한다. 그래야 제한된 우리의 삶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창조적 통찰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여수 여자만의 저녁 해가 오늘도 그토록 장엄하게 지는 거다.